완탬
@tmw_lee
태민 ٩( ᐛ )و
‘베일’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태민의 음악적 세계관을 분석해 봤어요. 다가올 아레나 투어를 기다리며 함께 읽어요. #태민 #TAEMIN #テミン posty.pe/4uluje
아 진짜 너무 흥미롭다 뭐 궁예를 위해서 해석하는 건 아니지만 전 메타모프 궁예는 좀 가능성 있다고(?) 생각하긴 함. 첫 번째 섹션에서 조각난 옷 벗는 것도 그렇고 도어에서 팔다리 안 묶은 것도 그렇고 아이덴티티도 다 카프카의 변신(메타모프)이랑 넘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서…
눈은 가리되 몸은 묶지 않은 채로 도어를 춘 것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죠. 결국 안대를 풀긴 했고 눈을 뜨긴 했지만, 그건 ‘변태’ 혹은 ‘변신’으로서의 재탄생이었던 거예요.
갑자기 급발진 죄송하지만 카프카의 <변신>의 관점에서 메타콘(metamorph)을 바라보면 진짜 재밌어요. 그레고르가 근대적 이성의 상징인 눈(인간)을 잃고 대신 동물적 감각을 상징하는 여러 다리(벌레)를 얻는 게 실은 어떤 존재가 알을 깨고 나오는 과정(메타모프)과 유사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사실 이런 의미에서 저는 태민의 identity가 카프카의 변신과 결합될 때 얻는 의미가 크다고 생각해요. 메타모프 콘서트의 엔딩이 identity인 이유가 분명 있을 거예요. 왜냐면 이건 새로운 몸을 얻게된 그레고르의 해방일지로도 보이거든요. “더 뜨겁게 나를 태워 내 Oh 여전히 남겨진 감정들과…
갑자기 급발진 죄송하지만 카프카의 <변신>의 관점에서 메타콘(metamorph)을 바라보면 진짜 재밌어요. 그레고르가 근대적 이성의 상징인 눈(인간)을 잃고 대신 동물적 감각을 상징하는 여러 다리(벌레)를 얻는 게 실은 어떤 존재가 알을 깨고 나오는 과정(메타모프)과 유사하다고 생각하거든요.…
갑자기 급발진 죄송하지만 카프카의 <변신>의 관점에서 메타콘(metamorph)을 바라보면 진짜 재밌어요. 그레고르가 근대적 이성의 상징인 눈(인간)을 잃고 대신 동물적 감각을 상징하는 여러 다리(벌레)를 얻는 게 실은 어떤 존재가 알을 깨고 나오는 과정(메타모프)과 유사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메..타..모프..? 그레고르 잠자는 어느 말 아침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깨어났을 때, 자신이 영종도 속에서 하나의 거대한 탬메로 변해 있음을 발견했다.
메..타..모프..? 그레고르 잠자는 어느 말 아침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깨어났을 때, 자신이 영종도 속에서 하나의 거대한 탬메로 변해 있음을 발견했다.
긴급 공지 드립니다. 음원총공팀 아이디 폼이 구글 정책 위반으로 신고 당하는 사례가 발생하여 현재 제출이 불가한 상태입니다. (마지막 제출 23시 26분) 신규 폼을 곧바로 공유드리려 하니 제출희망자 분들은 잠시만 기다려주시길 바랍니다.
음원총공팀 신규 아이디 수집 폼 공유드립니다. 새로 내실 분들께서는 모두 해당 링크로 부탁드리겠습니다 tally.so/r/nPJYpx
봄엔 진흙 속에 짓이겨진 목련 꽃잎, 여름엔 바닥을 뒹구는 매미 시체, 가을엔 비웅덩이 속 불어터진 낙엽, 겨울엔 첫눈조차 피해갈 수 없는 발자국 그 모든 것들이 슬프고 두려워서 밖으로 나갈 수가 없었다.
사랑하는 사람이 네 번째 손가락에 낀 반지를 따라 샀습니다... 아니 쌤 반지는 진짜 실물로 봐야 돼 사진에 안 담기는데 화이트로 은은한 광이 돌아서 진짜진짜 예뽀요!! 여러 스타일에 다 잘 어울려서 데일리로 끼기 좋은 반지 맨날 끼고 다녀야겠다... @OICOFFICIEL
지금 해킹링크 돌고있어요 트친들... 본인이 트친한테 아무 말없이 링크만 받앗다 그거 절대 누르면 안됩니다 절대 안돼요 그냥 무시하세요 ㅜㅜㅜ 누르는순간 다른트친한테 전송되는 해킹루트같아요 이거 한번 시작하면 피해가 정말 큽니다 알티좀 해주세요 ㅠㅠㅠ
이태민씨 스위스 여행 #Taemin #Switzerland #2min #태민 #스위스 #투민 #아트엑스수채색연필 #arrtx
3. 베일 뒤 제물 혹은 인도자 이 시점에서 우리는 이 글의 도입부에서 언급한 언어유희로 돌아가야 한다. 베일을 벗고 시선이 향하는 곳을 드러냄으로써 관객과 진정한 ‘공명’을 하겠다는 게 왜 ‘EVIL’로 이어지는 것일까? 바타유에 따르면, 인간은 연속성, 즉 진정한 의미의 ‘공명’을 위해 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