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우(Jaewoo Cho)⚡️
@clayop
Urban Planner and Blockchainist Associate Professor, Hansung University Hansung On-chain Data Lab (HODL) PGP: 5C72 88E0 812B 3872 618B 안전하고 친절한 블록체인 안내서 👇
✍🏻 민병덕 국회의원 페이스북 글..💬 25.7.28(월) “스테이블코인이 물가를 폭등시킨다?”는 이른바 ‘한은 괴담’에 대하여 – 한국은행의 오해를 바로잡습니다 #스테이블코인 #한국은행 #물가논쟁 #국채담보 #통화이론 #디지털자산 #한은괴담 facebook.com/share/p/19bX2m…
비트코인이 제도권과 가까워질수록, 초기의 순수한 이상과는 조금씩 멀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을 배척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 또한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채굴풀이나 ASIC도 처음에는 비난받았지만, 지금은 자연스럽게 비트코인 생태계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기관투자도 비슷하게…
x.com/i/article/1948…
JUST IN: Galaxy Digital announced it executed one of the largest notional bitcoin transactions in history, selling over 80,000 bitcoin worth more than $9 billion 🤯
제목과 주제가 아주 마음에 듭니다. 비단 스테이블코인뿐 아니라 비트코인, 디지털자산 전반에 대해 제대로 된 리서치라도 하고 논하면 좋겠습니다. 챗지피티한테만 물어봐도 금방 나오는데..
스테이블코인이란? 민병덕 의원의 명쾌한 설명입니다. 🥇 ✍🏻 민병덕 국회의원 페이스북 글..💬 25.7.24(목) facebook.com/share/p/1AwnNU…
국가가 주체가 되는 스테이블 코인, 즉 CDBC를 왜 이더리움같은 공개 블록체인 위에 올릴 거라고 생각하는 건지 당췌 이해가 안간다. 국가가 독점하는 발권력을 아무 댓가없이 비탈릭이랑 나눠갖자고? ㅋㅋㅋ 이더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철저히 민간용일 수 밖에 없다.
최근 ETH 이야기가 많이 나오네요. 제 노하우를 하나 공유드리자면 이더리움은 BTC 가격으로만 봅니다. 아래 차트는 가격은 아니고 이더 시가총액/비트 시가총액입니다. BTC 가격으로 봐도 차트 모양은 비슷한데요, 비율로 보는 이유는 rank-size rule을 적용하기 위해서입니다. 17년은 광기가…

제가 좋아하는 채굴밀도 무지개배열입니다. 첫번째 그림은 21년 1월~22년 1월. 무지개배열은 21년 1월 10일에 시작. 두번째 그림은 24년 7월~현재. 무지개는 25년 7월 8일에 시작.
불장 시작
스테이블코인의 개념 쉽게 정리 스테이블코인은 환불되는 상품권입니다. 상품권은 특정 회사의 생태계에 맞게 돈의 형태를 바꾼 것입니다. 신세계 상품권은 신세계 생태계에, 롯데 상품권은 롯데 생태계에서 사용되는 돈인 거죠. 스테이블코인은 돈의 형태를 블록체인 생태계에 맞게 바꾼 것입니다.…
한국은행 부총재 : "금융규제 수준이 높은 은행을 중심으로 우선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고, 점진적으로 비은행 부문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코인데스크 코리아 이후로 소속 매체에 칼럼을 쓴 적이 없었는데 약 3년 만에 처음으로 써봤습니다. digitalasset.works/news/articleVi…
대부분 코인 시장의 가파른 상승 시기와 미친 변동성을 보고 들어오기 때문에, 이러한 답답하고 결과가 안 나오는 시장에 적응이 힘들다. 즉, 기다림에 익숙하지 않다. 그런데 코인 시장은 기다림에 익숙해야 하고, 미친 변동성이 나타나는 시기는 그렇게 길지가 않다. 지금은 결과가 안 나오고…
가격은 결국 그대로인데 짧은 기간 안에 얼마나 많은 일들이 있었고, 거기에 투자자들이 반응하고 있나요. 크게 해석될 수밖에 없는 구간이고, 심리적으로 흔들릴 수밖에 없는 구간입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 같은 구조와 상황이 만들어졌는데 오히려 자신감이 넘치는 시기가 올 겁니다.…
제도권에서 잘 규제된 USDC가 코인런을 일으킨 적은 딱 한 번 있습니다. 바로 실리콘밸리은행 파산 때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불과 10여년 전에 부산저축은행 뱅크런이 있었습니다. 코인런 리스크보다 뱅크런 리스크를 먼저 걱정해야 합니다. 스테이블 코인런은 뱅크런의 일부일 뿐입니다.
